부동산정보47 주방(부엌) 풍수 인테리어 방법 정리 주방 풍수 인테리어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방은 재물운과 가족의 건강을 의미하는 공간인데요. 이왕이면 주방을 꾸밀 때 풍수에 따라 하면 좋겠죠? 아래에서 자세한 방법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방 풍수 인테리어 방법 주방의 가장 기본적인 풍수 인테리어는 청결하고, 잘 정돈되어 있어야 해요. 그래서 식기는 주방가구 안에 보관하고요. 냉장고는 음식이 쌓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정리를 해주어야 한답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집에 놔두면 냄새가 나기도 하지만 운세를 나쁘게 만들기 때문에 자주 버리고 냄새가 안 나도록 합니다. 주방에 창문이 있는 경우 재물운이 좋다고 하고요. 선인장이나 패랭이꽃 같은 작은 화분을 두면 더욱 좋아질 수 있다고 합니다. 주방 환풍기, 전자레인지, 주방용품 등 또한 환풍기나.. 2022. 11. 9. 깡통전세란 (ft. 보증보험) 깡통전세란 무엇이고 깡통전세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 해야되는 일이 무엇인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뉴스에서 깡통전세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얘기는 들어보셨을 텐데요. 아래에서 깡통전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깡통전세란 깡통전세란 전세가격이 매매가격보다 높아진 것을 말하는데요. 집을 팔더라도 전세금 만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마치 빈깡통과 같아서 붙은 이름입니다. 특히 최근 들어 집값이 본격적인 조정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깡통전세'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집값 하락세가 뚜렷했던 대구와 대전을 시작으로 최근에는 수도권까지 확산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전셋값이 급등한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상과 대출규제 강화로 집값이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못하는 피해가 잇따르고.. 2022. 7. 26. 2022년 서울시 신혼부부 전세대출 이자 지원사업(ft.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 서울시에서 2022년 신혼부부 전세대출 이자 지원사업을 공고했는데, 전세(월세) 계약 예정이시거나, 계약한 지 3개월 이내라면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에서 자세한 내용과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서울시 신혼부부 전세대출 이자 지원사업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이자 지원사업은 시중금리보다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조건에 해당한다면 지원을 받는 게 좋습니다. 한도 : 2억 서울시 신혼부부 전세대출의 한도는 2억입니다. 임차보증금의 최대 90% 이내이며, 최대 2억 원인데요. 예를 들어 전세금이 2억 원이라면 90%인 1.8억 원이 한도고, 전세금이 3억 원이라면 최대한도인 2억 원까지만 대출됩니다. 금리 기준+가산금리-지원금리 (COFIX + 1.6%-지원금리) 대출금리는 기준금리에 가산금.. 2022. 4. 20. 전세금 보증보험 가입조건 방법 혜택 정리 (ft. 네이버 전세보증보험) 전세금 보증보험이란 무엇이고, 가입기간, 가입할 수 있는 기관, 가입조건, 가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세로 살고 계신 분들, 전 재산과 같은 전세보증금 못 돌려받을까 걱정되시는 분들은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전세금 반환 보증보험이란 전세는 임차인(=세입자)이 보증금을 맡기고 임대인(=집주인)의 집을 일정 기간 동안 빌려 사용한 후 계약기간이 끝나면 보증금을 다시 돌려받는 임대차 유형 중 하나라는 것은 다들 알고 계실 겁니다. 그런데 깡통전세와 같이 집주인이 과도하게 대출을 받아 경매에 넘어가거나, 집주인이 개인회생, 파산 등의 도산절차에 들어가게 되면 전세금을 온전히 돌려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수 있는데요.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전세보증보험'이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전세보증보험은 .. 2022. 3. 21. LTV DTI DSR 용어 정리 (주택담보대출 용어) 주택 담보대출과 관련된 용어인 LTV, DTI, DSR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정부에서 주택 담보대출에 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뉴스나 여러 매체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들인데요. 자주 듣지만 생소하고 헷갈리는 용어들이니 아래에서 깔끔하게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LTV DTI DSR 이란? 1. LTV(주택담보대출비율) LTV(Loan To Value Ratio)는 '주택담보대출비율'입니다. 쉽게 말하면, 구입하고자 하는 주택을 담보로 하여 은행에서 얼마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한 것을 나타내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LTV가 60%라고 한다면 6억 원의 집을 살 때 3억 6천만 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출 가능금액 = 주택 가격 × LTV 비율 그런데 LTV는 고정된 것이 .. 2022. 3. 11. 전세계약 갱신 할 때 주의사항 정리(ft. 전세 자금 대출을 받은 경우) 전세계약을 갱신할 때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경우라면 반드시 기억해 두어야 할 사항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세계약 갱신만 신경 쓰시다가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부분을 깜빡해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아래 글 읽으시고 문제없이 전세계약 갱신하시기 바랍니다. 전세계약 갱신 주의사항 (전세자금 대출 연장) 전세계약은 통상 2년 만기로 진행을 하게 되는데요. 그렇다 보니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전세자금 대출도 임대차 기간인 2년 만기로 약정이 되어 있습니다. 물론 대출기간이 짧다 보니 원금상환을 분할로 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데요. 예를 들어 전세보증금 중에서 1억 2천만 원을 은행에서 대출받았다고 해보죠. 대출 만기가 24개월이니 원리금 균등상환의 경우 매월 원금 500만 원과 이자를 납부해야 된다는 얘기.. 2022. 2. 24. 이전 1 2 3 4 5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