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보

조각투자란 (부동산, 미술품, 한우 등)

by stancup 2023. 4. 27.

조각투자라고 들어보셨나요? 조각투자라는 새로운 투자 시장에 대하여 사람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아래에서 조각투자란 무엇인지, 조각투자를 통해 어떻게 돈을 벌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조각투자란

     

    조각투자란 '조각'이란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여러 사람이 건물, 그림 등 하나의 자산을 잘게 나누어 사고파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피자 한판을 공동으로 사서 조각내 여러 명이서 나누어 먹는 것처럼 말이죠.

     

    조각투자를 하는 이유와 돈을 버는 방법

     

    조각투자-부동산
    조각투자-부동산

     

    조각투자를 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그건 바로 매우 비싼 자산에 대하여 비교적 적은 돈으로 투자를 할 수 있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20억 원짜리 건물이 있다고 하죠. 개인이 20억 원을 가지고 투자를 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하지만 건물의 지분을 100만 원씩 2000개 조각으로 쪼갠다면요? 100만 원을 투자할 수 있는 투자자 2000명만 모이면 20억 원짜리 건물을 살 수 있다는 것이죠.

     

     

     

    조각투자를 통해 돈을 버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조각투자는 자산을 실제로 조각을 내서 하는 것은 아니에요. 자산에서 나오는 수익을 가질 권리를 나누는 것인데요. 권리를 쪼갠 것을 '증권'이라 합니다. 증권이란 단어는 많이 들어보셨죠? 주식이나 채권도 증권의 한 종류입니다.

     

    자산 가격이 오르면 자산을 팔아서 그 차익을 나누기도 하고요. 부동산 임대료나 음원 수익처럼 꾸준히 발생하는 수익도 배당금으로 나눠 가질 수 있어요. 당연한 얘기지만 모든 투자가 그렇듯 값이 떨어지면 손해를 볼 수도 있죠.

     

    조각투자-미술품
    조각투자-미술품

     

    조각투자의 대상은 다양한데요. 부동산, 미술 작품, 한우, 경주마 등이 대표적인 투자 대상이에요. 이외에도 음악 저작권과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지적재산권도 투자 대상입니다. 조각투자 대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산 가격이 주식이나 채권처럼 수시로 오르내립니다.
    2. 자산을 관리하는데 비용이 발생해요. (부동산 유지보수 비용, 미술품 보관, 동물 사육 등)

     

    그렇다면 실물이 없는 조각투자는 어떻게 소유권과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을까요? 그건 바로 토큰증권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요. 아래에서 토큰증권이란 무엇인지 어디서 사고팔 수 있는지 알아볼게요.

     

    토큰증권이란

     

    조각투자-썸네일
    조각투자-썸네일

     

    토큰증권은 모든 투자자가 거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기록을 남기는 증권이에요. 대부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거래내역과 가격 변동 과정을 실시간으로 저장을 합니다. 토큰증권은 조각투자 플랫폼이 발행을 하는데요. 부동산, 미술품, 한우 등 각 자산별로 여러 플랫폼이 있어요.

     

    하나의 자산을 조각낸 개수만큼 토큰을 발행하고요. 토큰을 많이 가진 투자자가 더 많은 더 많은 수익을 받습니다. 주식 수만큼 배당금을 많이 받는 것과 같아요. 다만 조각투자 플랫폼은 투자자들을 모집하고, 자산을 골라 사들이는 등 다양한 일을 대행해 주는 대가로 일정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현재 토큰증권은 하나의 플랫폼에서 발행과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 다른 플랫폼끼리는 거래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플랫폼들은 발행하는 기능에 집중을 하고, 사고파는 유통은 별도의 증권거래소로 옮겨갈 전망이라고 하는데요. 주식처럼 자유롭게 사고파는 것이 가능하도록 말이죠.

     

    조각투자란 무엇인지, 조각투자를 통해 어떻게 돈을 벌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적은 돈을 가지고도 투자를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는 것 아셨죠? 다음번에는 조각투자 대상 중 부동산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